병원 인테리어를 하기로 마음먹으셨다면, 공사 비용 대비 더 효과적인 결과물을 만드는 것도 중요한데요.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병원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지금은 딱딱하고 불편한 느낌에서 벗어나, 치유와 회복의 공간이 될 수 있는 환자 중심의 디자인이 대세인데요.
의료 시설을 경험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는 5개의 사례를 소개해봅니다.
병원 디자인이나 설계를 준비 중이시라면 참조해보세요.
병원 개원을 준비하다 보면 챙겨야 할 것이 정말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인테리어를 준비할 때, 업체 선정 기준 등 참조하시면 좋을 5가지 사항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개원을 준비하신다면 꼭 한번 살펴보세요^^
이번 입원실한의원 공사는 87평에 약 20평의 한의원과 10병상의 병실이 들어가야 했던 공사인데요.
그러다 보니 로비도 대기실도 협소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전혀 좁아 보이지 않게 공간을 만들 수 있었던 공간 디자인의 비밀을 살펴보세요.
벽면을 식물로 채워 벽을 녹색화하는 그린 월. 상업공간뿐 아니라 병원 건축, 인테리어에도 적용해 좋은 효과를 거둔 사례들이 많은데요.
의료 시설에 그린월을 적용하면 좋은 이유와 사례들을 정리해봤습니다.
병원 인테리어를 할 때는, 각 공간별로 의료법상의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는데요. 입원실, 수술실 등 각 공간별 시설규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우리 병원에 정확히 어떤 시설들을 설치해야 할지?
병원 개원을 준비중이라면 그 부분에 대해 궁금하신 원장님들 많으실 텐데요.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른 시설 기준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병원 인테리어 디자인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혁신적인 헬스케어 디자인으로 주목받는 암 치료센터인, David H. Koch Center의 사례를 들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공간의 디자인이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듯, 의료기관 디자인은 환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편안한 인테리어만으로 환자들의 마음을 안정시켜줄 수 있지요.
전체적인 색깔 선택, 가벼운 소품 하나를 잘 고르는 것만으로도 방문하는 분들에게 좋은 경험을 줄 수 있습니다.
두룩스 연구 논문(A Dulux research paper)에서는 파란색 등의 색상이 어떻게 사람들의 불안감을 줄여줄 수 있는지 설명을 합니다.
인테리어에서도 트렌드를 반영하는 게 중요합니다. <트렌드 코리아 2021>에서 마지막으로 선정한 키워드 휴먼터치. 이 단어를 접하면서 정말 의료기관을 인테리어할 때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 바로 이것이구나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