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를 할 때, 설계 작업을 마무리한 후 병원 디자인 3D 도면 작업을 합니다.
때로 생략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 느낌을 보기 원하는 원장님들이 의뢰하실 때 3D 작업까지 하게 되는데요.
익산 모현동 한의원 인테리어 사례로, 3D로 어떻게 디자인 컨셉을 구현하는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환자분들이 치유를 받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모던하면서 미니멀한 분위기를 연출했어요.
병원 인테리어를 할 때 디자인 컨셉을 잘 정하고, 그 컨셉을 시공으로 제대로 구현해내는 것이 중요한데요.
마침 같은 시기에 개원을 준비했던 친구가 있어서, 인테리어의 최종 결과물에 대해서도 비교를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추천을 통해 믿고 맡길 수 있는 전문 업체를 선정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셨다고 하는데요.
권용민 원장님께 솔직한 시공 후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와~ 투시도 cg보다 더 예쁜 것 같아요. 그래픽보다 예쁜 인테리어를 보는 건 처음이네요.”
공사 후 클라이언트께서 그렇게 말씀해주셔서 참 기뻤습니다.
이런 인테리어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나오는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병상을 갖춘 의료기관이라면 세탁물을 관리할 때, 의료기관세탁물관리규칙을 따라야 하는데요.
입원실이 있는 병원, 입원실 한의원 등이 모두 해당합니다.
관리규칙에 따른 시설 기준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올해 초 서울시 강남에 위치한 100평대 여성의원 공사를 진행했습니다.
원장님께서 기존 인테리어가 너무 아쉬워서 리모델링을 의뢰한 곳이었어요.
“너무 예뻐져서 기분이 좋아요”
인테리어 후에 원장님께서 해주신 말씀인데요.
오랜 시간 기다리더라도 우리집인테리어디자인과 꼭 공사를 하기를 원하셨던 원장님. 과연 공사 후에 만족도는 어떠셨을까요? 고용희 원장님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인테리어 어디서 하셨어요?”
“인테리어가 너무 고급스러워요”
공사 후 오시는 분들마다 이렇게 물어본다는 피부과 인테리어 후기를 들어봤습니다.
올해 초에 대전 내동에 위치한 오래된 한의원의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했는데요. 7개월이 흐른 지금, 공사 만족도는 어떠한지 원장님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전체적으로 나무의 따뜻한 느낌을 내고 싶다면 무늬목이나 원목을 사용하는 게 가장 고급스럽습니다.
하지만 그럴 경우 자재비와 인건비가 동시에 많이 상승하는데요.
그래서 일부 눈에 잘 띄는 특정 부분만 무늬목으로 시공을 하고요.
나머지 큰 면적을 차지하는 벽이나 문에는 무늬목과 같은 색의 필름을 시공합니다.